맛있는 물이 몸에도 좋을까?

궁금하네요
물맛은 온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 가장 맛있게 느껴지는 물의 온도는 16℃ 전후이고, 좀더 상쾌한 맛을 느끼려면 9~10℃를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보다 차면 혀의 감각을 마비시켜 물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한다. 따뜻한 물의 경우 70℃ 정도일 때가 맛있다. 반대로 가장 맛없는 물의 온도는 35~45℃일 때다. 즉 물은 체온과 가까운 온도면 맛이 없다.

물맛을 결정하는 또하나의 요소는 물 속에 녹아 있는 무기염류이다. 이 중에서 물 맛을 내는 성분은 칼슈므 칼륨, 규산 등이다.
칼슘은 유럽과 같이 심한 센물일 때는 물맛을 떨어뜨리지만, 단물일 때는 오히려 물맛을 좋게 한다. 칼륨은 너무 많이 있으면 쓴맛이 나지만 적당량이 녹아 있으면 물맛이 좋아진다. 규산은 물맛을 좋게 하는 가장 중요한 성분이다. 반면 마그네슘, 황산이온, 염소, 등은 물맛을 떨어뜨린다. 특히 수돗물을 살균할 때 사용하는 염소는 적당히 조절해서 넣지 않으면 물맛이 좋지 않다.

그럼 건강에 좋은 물이 어떤 물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칼슘의 함유량에서 나트륨의 함유량을 뺀 값이 클수록 건강에 좋은 물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에 좋다는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일본의 한 장수 마을을 조사한 결과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이 하천의 수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그 결과 바로 칼슘과 나트륨 함유량의 비교였던 것이다.

그렇다고 칼슘이 들어있는 물을 너무 많이 마셔도 좋지 않다. 칼슘이 많아지면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이 증가해 혈관이 막히게 되므로 뇌경색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런데 맛이 좋기로 소문난 물 중에는 칼슘 함유량이 너무 많거나 적은 경우도 있다. 맛있는 물이 반드시 건강에 좋은 물은 아니라는 것을 말한다.
몸으로 느끼는 물이 좋은 물입니다.
몸에 좋은 물은 몸이 원할 때 공급되는 물이 좋은 물입니다.
물을 많이 마시면, 위산을 희석해서 좋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물을 많이 마시면 신진대사에 좋다고 합니다.
좋은물은 필요할 때 마시는 물보다 항상 손에 들고 있는물이
좋은 물입니다.

일단 산에서 가조운

약수물은 조쿠요 맛도 이꾸요

몸에도 좋와요

꼭 다 맛잇는 물이 몸에 좋은건 아니구요

맛잇는물도

약수 물이 더 좋와요 ( 왜냐면 산에서 이상한 몸에 안좋은 병균들이 다 걸려저서 나오니깐요 )

'정수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공사막정수기! 지하수에는 안돼.  (0) 2009.03.27
물을 이용한 재미난 놀이.  (0) 2008.10.13